경남 산청군은 1972년말 까지는 인구 10만을 넘어서는 중소 도시였다.
하지만 산업화에 따른 급격한 이농현상으로 1995년 말에는 3만 6294명에 불과했다.
2000년대 들면서는 65세 이상 노인이 20% 이상인 초고령 지역으로 바뀌었다.
이후 각종 인구 유입정책을 쏟아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다 2009년 말 인구는 3만 4921명으로 더 줄어들었다.
그러나 최근 산청군의 인구는 2010년부터 중장기 인구증가정책을 수립해 차근차근 기반을 다져왔다.

이후 민선 6기부터는 부자산청, 교육산청, 녹색산청, 관광산청을 군정방침으로 삼고 본격적인 ‘살기좋은 산청’ 만들기가 진행됐다.
그 결과 2015년 말 인구수가 3만6071명으로 올라섰다. 인구수 3만6000명을 넘은 것은 2005년 이후 10년 만의 일이었다.
특히, 사망으로 인한 자연감소와 전출인구보다 전입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역 균형발전과 공공주택 건립 등 정주여건 개선이 가장 큰 이유로 해석 된다.
당시 산청군은 열악한 교육 환경이 인구 감소의 주요원인이다. 산청 역시 자녀들의 중·고등학교 교육 문제로 지역을 떠나 인근 진주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녀교육을 위해 산청으로 되돌아오는 주민들이 크게 늘고 있다. 산청군은 교육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09년 3월부터 공립학원인 우정학사를 운영하고 있다.
그 결과 2013년 서울대를 비롯한 수도권 명문대학에 다수 합격자를 배출했다. 또한 학부모 교육비 부담완화 등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거점 기숙형 중·고등학교를 설립한다.
고등학교는 2018년 3월, 중학교는 2019년 3월 개교 예정이다. 지역 특성에 맞는 기숙형 학교 건립으로 교육환경이 개선되면 인구 역시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산청군은 1999년 8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사단법인 산청군향토장학회를 설립·운영하고 있다. 향토장학회는 대학 입학생 장학금 지급(서울대 기준 1000만원), 예·체능 장학금 지급 등 다양한 분야에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군은 현재 농공단지 등에 대규모 기업체가 입주하고 전원주택마을이 조성돼 실제 거주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전입신고를 통해 산청군 주민으로 등록하는 사례가 적다.
이에 산청군은 귀농·귀촌인에 주민등록 전입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안내했다. 특히 유관기관·기업체 간담회를 통해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을 비롯한 30여 기업체 1000여명의 근로자가 전입신고를 마쳤다.
전원주택 단지 개발도 활발하다. 현재 63단지 1374세대의 전원주택지가 개발되고 있고 이미 509동이 준공돼 입주가 진행 중이다.

산청군은 최근 행자부와 대한상의가 실시한 ‘2016 전국 규제지도’ 조사·분석에서 경제활동 친화성 분야 전국 2위를 기록했다.
실제로 산청군은 지난해 창원에 본사를 둔 항공기용 부품 제조업체 ㈜율곡의 투지유치에 성공했다.
㈜율곡은 2018년 말까지 150억3700만원을 투자하고, 361명을 고용 할 계획이다. 따라서 기업과 공장 유치를 위한 지원도 빼놓지 않고 있다.
산청군은 지난해 4월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한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에 공모·선정됐다.
산청읍 옥산리 525번지 일원에 207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 공공임대아파트 150호(영구20호, 국민 100호, 행복30호)가 건립될 예정이다.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은 국교부에서 2015년 처음으로 도입한 공공임대주택 공급모델이다.
지난해 11월 산청군-LH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올해 상반기에 주변지역 마을정비계획 용역을 발주해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한 사업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며 내년 6월 착공해 그 다음해인 2019년 11월 준공 계획이다.

산청군은 그동안 지원해 오던 출산장려금을 올해 더 강화한다. 2017년부터 셋째아 출산장려금을 3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상향 지급한다.
이같은 행정에 힙입어 인구수는 2015년 3만6071명에서 2016년 3만6098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2016년 한 해 산청군 전체 사망자 수가 503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뚜렷한 증가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