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03일 14시 56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조국, <문재인입니다> 본 후 올린 글 "조용히 담담히 보고 왔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문재인입니다>를 관람하고 한줄 평을 자신의 SNS에 올렸다. 조 전 장관은 18일 페이스북에 <문재인입니다> 영화 포스터 사진을 올리고 "조용히 담담히 보고 왔습니다"라고 짧은 소감을 적었다. <문재인입니다>에는 문 전 대통령이 '지금 당장 소주 한 잔 기
이명선 기자
2023.05.19 16:11:04
'미신고 토지 거래' 김경협, 1심 의원직 상실형
징역 6개월에 집유 2년
공공택지지구 내 토지를 허가 없이 사고 판 혐의로 기소된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심에서 의원직 상실형을 선고받았다. 인천지법 부천지원(형사1단독 박효선 부장판사)은 19일 선고 공판에서 부동산 거래 신고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김 의원에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김 의원에게 땅을 팔았다가 같은 혐의로 기소된 이상수 전
서어리 기자
2023.05.19 14:53:22
완전 점검 불가능한 후쿠시마 시찰단, 오염수 방류 위한 '요식행위'로 전락?
22일부터 나흘간 시찰하지만 안전 문제로 ALPS 완전 점검 불가능…언론과 민간 전문가 동행도 '금지'
한일 양국이 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으로 파견되는 한국 시찰단에 민간 전문가 및 언론을 포함하지 않기로 합의하면서, 시찰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스스로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과 유국희 전문가 현장 시찰단 단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오는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 동안 시
이재호 기자
2023.05.19 14:34:47
父 농지법 위반 의원직 사퇴 윤희숙 "김남국도 당연히 사퇴해야"
부친의 농지법 위반 의혹이 제기돼 의원직을 사퇴했던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이,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해 "당연히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윤 전 의원은 19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김남국 의원은 지금 사퇴해도 하나도 과하지 않다"며 "이런 분이 공직에 있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윤 전 의원은 김
2023.05.19 13:27:31
발끈한 김의겸 "한동훈, 내가 아무리 밉상이라도 왜 날 끌어들이나"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동훈 법무부장관의 "김의겸 의원 대신 박찬대 의원께서 민주당 발 가짜뉴스를 담당하기로 한 것인가"라는 내용의 입장문에 대해 "일국의 법무부장관이 할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이 사안에 왜 저를 끌어들이느냐. 제가 아무리 밉상이라도 이건 아니다. 일개 장관도 이러지는 않는다"고
박세열 기자
2023.05.19 13:26:47
윤재옥 "한미일 공조 강화", 이재명 "오염수 테러 공범 될수도“
尹대통령 외교 행보에 여야 갑론을박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리는 일본 히로시마를 찾는 가운데, 여야가 한미일 공조 강화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문제 해결을 각각 촉구하며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는 19일 원내대책회의에서 "2박 3일 동안 윤 대통령은 한일정상회담은 물론 주요 정상들과 양자 회담을 가질 예정"이라며 "이번 정상회의는
최용락 기자
2023.05.19 11:14:18
권영세 "한미, 한미일 관계 자리잡았으니 이제 중국과 대화할 때"
대만 문제에 대해 "우리도 민감한 부분 신경썼어야…하지만 중국 자극하는 발언 아니었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미국과 일본에 치우쳤던 외교 방향에 대해 이제 중국과 대화를 통해 경제와 북핵 문제 등을 풀어가야 할 시기가 됐다고 진단했다. 19일 KBS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한 권 장관은 "한미 동맹 70주년을 계기로 대통령께서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획기적으로 관계를 강화시킨 것은 역설적으로 생각하실지 모
2023.05.19 11:13:37
이재명 "尹대통령, 5.18 정략적 활용…존중감 제로"
민주당 "광주 정신 헌법에 담는 것이 확실한 국민 통합"
더불어민주당이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원 포인트 개헌' 제안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정부에 대해 "5.18 정신을 정략적으로 활용한 것"이라며 반발했다. 이재명 대표는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해야 한다, 원 포인트 개헌하자'는 얘기에 대해서 그 주장 자체가 5.18 정신 모독하는 것이
2023.05.19 11:12:45
'절제' 잃은 권력이 거부권을 남발하면…
[최창렬 칼럼] 절차적 민주주의와 거부권 정치의 한계
민주화 이후 분점정부(여소야대)가 낯설지 않은 현상으로 등장하면서 행정권력과 입법권력의 이원적 정통성은 정당체제가 직면한 문제 중 하나다. 권위주의 시절 여소야대는 상상할 수 없는 정당구도였고 민주화 이후 1988년 13대 총선 때의 여소야대는 국민에게 민주화를 실감하게 하는 정치현상이었다. 5공 청문회와 광주 민주화 운동 청문회 등이 열리고 국민들은 이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
2023.05.19 10:22:57
일본 "한국 시찰단, 방사능 피폭 가능성 있다"…체류시간 제한, 이럴 거면 왜 시찰?
일본 측이 한국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이 시찰 할 때 방사능에 피폭될 가능성이 있다며 시찰을 위한 체류 시간 제한을 언급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18일 SBS 보도에 따르면 정부 핵심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오염수 정화 및 방류 시설에 오래 머무르며 보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데, 현지 규정상 하루 방사능 피폭한도가 있다는 일본 측의 설명이 있었다"고
2023.05.19 07:4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