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06일 20시 46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문서로 증거 안 남긴 히틀러, 입으로만 '유대인 절멸' 지시했다
[김재명의 전쟁범죄 이야기 87] 독일의 전쟁범죄-홀로코스트 ⑮
나치 선전장관 괴벨스가 앞장 서 부추겼던 '수정의 밤'(Kristallnacht)을 다룬 지난 주 글과 관련, 독자 한 분이 메일을 주셨다. "이즈음 이스라엘이 중동에서 하는 짓을 떠올리면, 나치에게 박해받는 기사를 읽으면서 유대인들에게 인간적 연민을 느끼기가 어렵다"는 내용이었다. "나치의 유대인 박해는 잘못이지만, 유대인에게 동정심이 들지 않는다는 사실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
2024.09.28 18:59:20
지방 살리려면? 지역 기초단위 시군 간 무한경쟁 멈춰야 한다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수도권 대항할 수 있는 지역 대도시 키워야
수도권 집중은 산업·경제만이 아니라 상징성, 정체성의 집중 수도권의 양적, 질적 집중의 심화와 함께 공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스갯소리로 '수도권 지하철이 가는 곳까지가 수도권'이라는 말이 있는데, 실제로 경기 남부는 서울 북부보다 더 서울로서의 정체성과 산업·일자리·생활 연계를 가지고 있고, 수도권은 이미 충청, 강원권까지 실질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남기범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2024.09.28 16:58:24
'정의롭지 않은' 에너지 전환, 어떻게 봐야 할까
[초록發光] 인도네시아의 '정의롭지 않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
기후 위기 시대, 저탄소사회로의 에너지 전환은 에너지정책의 핵심이 되었다.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예외는 아니다. 신기후체제의 출범으로 개도국도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게 되면서, 동남아 국가들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발표하였다. 일부 국가는 석탄발전소의 단계적 폐쇄를 촉진하기 위해
유예지 서강대 동아연구소 연구교수
2024.09.28 12:00:02
너희의 위기를 여성에게 전가하지 마!
[거인들의 발걸음] 2024년 3월8일, 더 뜨겁게 잇는 2025년 여성파업
2024년 3월 8일, 보라색 물결을 이룬 800여 명의 노동자들이 서울 보신각 앞마당을 가득 메웠다. 그들은 "여성이 멈추면, 세상도 멈춘다!"는 구호를 외치며 '역행하는 시대, 돌파하는 우리의 투쟁, 2024년 여성파업' 집회를 진행했다. 41개 노조와 단체가 결성한 2024 3·8여성파업조직위원회(이하 여성파업조직위)는 2023년 11월부터 3·8 여
김경미 숨쉬는책공장 공장장
2024.09.27 12:18:52
위기의 한동훈, ‘김건희·한동훈 갈등’ 돌파할 수 있나
[정희준의 어퍼컷] 칼자루 쥔 대통령 부부, '배신자 한동훈'의 선택은?
교수 시절 경험이다. 얼굴 마주 보고 이야기하기 싫은 교수에겐 이메일을 활용한다. 전화로 의견을 물을 수도 있지만 말 섞기도 싫은 것이다. 이보다 더 심한 경우는 조교를 보내 묻는 경우다. 상대하기도 싫은 것이다. 교수들을 오가는 조교를 보며 '너희가 참 수고가 많다'며 측은해했다. 교수로서 부끄러웠다. 최근 한동훈 대표는 대통령과의 독대 요청 사실을 언
정희준 문화연대 집행위원
2024.09.27 05:02:41
이스라엘 점령군은 21세기의 '나치'… 학살 앞에 중립은 있을 수 없다
[홍명교 칼럼] 팔레스타인 학살의 역사, 우리가 멈추자
'중립 기어'는 언제나 옳은가? 경제 유튜브 채널 중 구독자가 가장 많다고 알려져 있는 '삼프로TV'는 국제 정세의 변동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주식시장 성격 때문인지 큰 사건이 발생했을 때 발 빠르게 전문가를 섭외해 콘텐츠를 제작한다. 사회자들은 짧게는 30분, 길게는 1시간에서 2시간에 이르는 시간동안 대화 형식의 강연을 듣고, 이를 통해 시청자들이
홍명교 플랫폼C 활동가
2024.09.26 05:02:04
통일 하지 말자? 기성세대엔 통일할 역량도, 포기할 권리도 없다
[정욱식 칼럼] 평화의 재발명 (30) '1991년 체제'의 파탄과 신체제의 모색
임종석 문재인 정부 청와대 비서실장의 "통일, 하지 말자"며 "평화적이고 민족적인 두 국가를 수용하자"는 발언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여권과 보수언론에선 조선(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주장에 동조한 것이라며 색깔론을 펴고 있지만, 이는 정략적 공격에 지나지 않는다. 김정은은 민족과 통일 개념을 폐기하고 '적대적이고 교전 중인 두 국가'를 들고 나온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겸 한겨레평화연구소장
2024.09.25 05:02:18
입양아동에게 자기 정보 주지 않는다? 이건 아이를 두 번 죽이는 것
[보호출산제로 보호받는 고통] 어른들의 이기심으로 ‘입양 정체성’ 형성 무너뜨려
2002년 월드컵 열기로 뜨거움을 안고 태어나 오필승으로 불리던 아이를 2003년 3월 우리 가족으로 맞이했다. 어린아이가 생긴 집은 활기로 가득 찼고 10살 위의 형은 동생이 생겼다고 친구들에게 자랑했다. 부모 양측의 집안 모두 새 가족이 생김을 축복했고 주변에서도 우리 가족의 결정을 응원했다. 모든 가족이 그렇듯 우리 가족도 기쁨과 슬픔, 즐거움과 어
홍민자 더나은입양을실천하는입양부모네트워크 공동대표
2024.09.24 14:01:38
금융투자소득세 논쟁,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임수강의 진보금융 찾기] 증권거래세를 되살리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 시작해야
금투세 논쟁의 허점 예정대로라면 내년 1월부터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가 시행된다. 2020년 말에 법이 통과된 지 5년 만이다. 법 통과 당시의 시행 예정 시기는 2023년이었지만 한 차례 연기되어 2년이 늦춰졌다. 시행을 얼마 앞둔 이 세제를 두고 논쟁이 한창이다. 여당은 여야 합의로 만든, 그리고 아직 시행에 들어가지도 않은 금융투자세를 아예 폐지하자
임수강 금융평론가
2024.09.24 05:03:36
'통합돌봄지원법'으로 통합돌봄이 가능할까?
[복지국가SOCIETY] 통합돌봄지원법, 제대로 만들려면
올해 2월,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문재인 정부에서부터 추진되어 온 지역사회통합돌봄사업의 성과임과 동시에 2020년과 2021년 발의되었던 '지역사회통합돌봄기본법안'의 결과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법의 명칭에서부터 그렇듯 통합돌봄이라는 말 대신 통합돌봄지원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었다.
장봉석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사
2024.09.23 14:58:41
오늘의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