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7월 09일 17시 2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10년 후' 한국, '말잔치'에 그치면 곤란하다"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10ㆍ끝> 패러다임 전환기의 과학기술 정책
블루오션은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시장경쟁의 효율성을 믿는다면 미발견의 광대한 처녀지란 없다. 제 아무리 우수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그 기술을 바탕으로 지금까지는 볼 수 없었던 전혀 다른 시야를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해도, 기술의 새로움
김태억 영국 리즈대 경제학 박사
2005.07.07 09:45:00
"돈 되는 것만 좇는 기업, 미래 없다"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9> 기술혁신과 기업의 역할
우리나라의 국가적 기술경쟁력을 내부로부터 잠식하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기업들의 장기 생존력을 스스로 파괴할 뿐이다. 대기업들이 국내 연구소나 대학을 효과적인 아웃소싱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한, 우리나라의 기초과학 역량, 근본기술 역량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은
김태억 영국 리즈대 박사
2005.06.02 09:04:00
"과학기술정책, '시장친화'인가 '재벌종속'인가?"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8>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기로
과학기술 정책마저 '시장 친화적'인 방향으로 입안 추진된다면, 그 실제적인 결과는 '시장친화'가 아니라 '시장 종속', 나아가서는 '재벌종속'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 엄청난 규모의 국가 예산을 투입했으나 10여년이 지난 지금 그 정책 효
2005.05.19 09:16:00
"언제까지 '정보통신 강국' 타령만..."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7> 나노기술 혁신은 세계적 추세
정보통신이 우리나라 최대 주력 수출품이며 앞으로 10여 년 간 이 분야의 세계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기술 수준은 낮더라도 1.5단계 나노기술에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문제가
2005.05.12 10:55:00
'혁신 기업가'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6> '혁신'의 조건
1920년대 전기자동차는 기술과 경제성 측면에서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훨씬 우월했으나 결국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세계 최초의 컴퓨터는 3개국에서 약 3~4년의 격차를 두고 동시에 만들어졌고, 독일의 기술 전문대 학생 주세(Zuse)가 1936년에 만든 컴퓨터가 최초의 것으
2005.04.28 09:10:00
"신자유주의의 손쉬운 대안, 치명적 결과"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5> 신자유주의 대안은?
최근 들어 정부에서 연이어 제출하고 있는 각종 경제 정책들을 보면 아예 신자유주의를 극단으로까지 밀고 나가려고 작정하고 있는 듯 보인다. 분배에 기초한 성장을 주장하던 노무현 정부 초기의 문제의식은 아예 사라지고 성장 제일주의에 '올인'하고 있다는 생각
2005.04.21 09:04:00
"한국이 죽어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 못하는 이유"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4> 인문학ㆍ기초과학의 중요성
무선 전화가 맨 처음 시연된 때가 언제였을까? 놀랍게도 70년 전에 미국의 통신회사인 벨 사가 세계 최초의 무선 전화를 시연해 보였다. 그렇다면 왜 지금에서야 휴대폰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기술적 어려움이 아니라, 그 기술을 소비
김태억 리즈대 박사
2005.04.07 08:57:00
"'대학의 산업화'는 과학기술 망치는 지름길"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3> 정부가 할 일, 기업이 할 일
결국 정부가 진짜 감당해야 할 역할은 기업들이 스스로 기술혁신에 나설 수 있는 구조적 환경, 시장 조건을 형성하는 것이지, 기업을 앞장서 지원하는 것이 아니다. 정부가 기업의 역할을 대신 혹은 직접 지원 한다면 기업의 세계적 경쟁력은, 장기적으로 없다.
2005.03.31 09:17:00
"차세대 과학기술 잠재력, 중국이 이미 한국 앞섰다"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2> '지식경제시대', 우리의 탈출구는?
한국인 저자는 손에 꼽을 정도임에 반해 우리나라를 뒤이어 7위를 기록한 중국인 저자들의 경우는 놀랄 만큼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여주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이는 곧 특허나 논문의 단순 등재수가 아니라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를 기준으로 놓고 볼 때 중국이 이
2005.03.24 09:19:00
'세계최고' 삼성호, 10년후에도 순항가능한가?
기술 패러다임의 미래를 찾아서 <1> '이공계 위기'의 본질
삼성이 불과 20년 만에 전자산업 부문 세계 최고의 기업이라는 소니를 위협할 만큼 성장한 반면 코스닥 열풍을 불러왔던 기술벤처의 꿈이 거품으로 끝난 이유는 무엇일까? 삼성과 LG의 놀라운 수출액과 수익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왜 산업 공동화, 경제 양극화를 우려하는 목
2005.03.17 0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