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08일 18시 0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조선의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조선의 흙이 된 '아사카와 다쿠미'
[오래된 아름다움을 찾아서] <6>
우리 도자기와 공예를 생각할 때마다 떠오르는 사람. 인터넷 검색창에서도 쉽게 확인되는 아사카와 다쿠미의 간략한 이력이다. 아사카와 다쿠미, 그는 1980년대 말 무렵 내가 우리 고미술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이것저것 자료를 찾다가 우연히 마주친 이름이다. 그에 대한 자
김치호 <고미술의 유혹>저자
2011.09.01 11:26:00
'풍토'와 '마을', 한국미의 원형을 설명하는 두 가지 핵심어
[오래된 아름다움을 찾아서] <5>
우리는 어떤 문화 사조 또는 미술 양식을 이야기할 때 '원형'이란 말을 자주 쓴다. 원형(原型)이란 기본이 되는 모형이다. 미학적으로는 한 국가 사회 또는 민족의 미술 활동이 처음 형성될 때 갖추어지는 기본적 성격이나 가치에 대한 구성원의 평균적 체험을 의미
김치호 <고미술의 유혹> 저자
2011.08.30 16:16:00
우리 고미술에 녹아 있는 한국미의 원형
[오래된 아름다움을 찾아서] <4>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우리 고미술에 내재되어 있는 오래된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나의 여정은 지금도 쉼 없이 계속되고 있지만, 무엇엔가 가로막혀 답답해지면 늘 찾아가는 곳이 있었으니, 그것은 고유섭이라는 넉넉하고도 아늑한 품이었다.
2011.08.25 11:20:00
우리 고미술의 가능성 그리고 소통을 위해
[오래된 아름다움을 찾아서] <3>
고미술 컬렉션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은 어느 정도인가? 그 세계를 이해하고 즐기는 컬렉터 층의 안목은 어느 수준의 폭과 깊이를 가지고 있는가? 또 물건의 거래 현장인 고미술 시장의 구조적 특징, 규율과 질서, 시장 참여자들의 구성과 자질은 어떠한가?
김치호 『고미술의 유혹』저자
2011.08.23 07:52:00
고미술품, 골동, 앤티크, 이름도 다양한 옛 물건들
[오래된 아름다움을 찾아서] <2>
고미술 컬렉션, 그 본질적 의미와 속성을 어떻게 규정하고 정의할 수 있을까? 나는 지난 20여 년 동안 고미술이라는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며 우리 고미술에 담긴 아름다움의 근원과 참된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늪이라는 데가 언뜻 보기에는 얕은 저수지 정도로 여겨지
2011.08.18 10:31:00
컬렉션, 아름다움으로 가는 긴 여정
[오래된 아름다움을 찾아서] <1>
김치호 박사(『고미술의 유혹』(한길아트, 2009)의 저자)의 「오래된 아름다움을 찾아서」를 새로 연재한다. 이 연재는 본업이 경제학도인 그가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 고미술의 아름다움에 빠져 중년의 열정을 쏟아부으며 체득한 안목과 경험을 녹여 풀어내는 우리 고미술
2011.08.16 08: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