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14일 18시 14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공연장 Today 0821] 환상의 나라로! 뮤지컬 '일 삐노끼오'
[공연tong] 예술의전당에서 찾는 동화의 나라, 뮤지컬 '일 삐노끼오'
신나는 금요일, 예술의전당 속 환상의 나라로 여행을 떠나보자. 뮤지컬 '일 삐노끼오'는 유럽 권을 벗어난 지역 중 최초로 지난 7일 한국 무대에 올랐다. 이 작품은 우리에게 친근한 동화로 접근해 다소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이태리 뮤지컬을 쉽게 관람할 수 있도
뉴스테이지 김수연
[백스테이지 투어 4 - 발레를 만드는 사람들] 국립발레단의 숨겨진 보물
[人 스테이지]국립발레단 문병남 부예술감독
국립발레단의 문병남 부예술감독은 1984년 조선대학교 무용학과를 졸업한 뒤 국립발레단의 단원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미국으로의 유학 후 국립발레단에서의 지도위원, 다시 러시아로의 유학 후 국립발레단의 마스터를 역임했다. 국립발레단의 독보적인 위치에 있던 그는 이
색다른 맛과 레시피로 찾아오다!
연극 '날 보러와요'의 2009 버전
롱런하는 작품들은 관객의 구미를 당기는 그들만의 소스가 있다. 같은 극이지만 다른 극을 보는 것 같이 매번 색다른 재미로 찾아오는 작품이라면 더할 나위 없다. 1996년에 초연하여 15년간 공연된 연극 '날 보러와요'는 2009 버전에서 색다른 레시피로 극의 맛을
머리 감겨 드릴까요?
[난장 스테이지] 연극 '쉬어매드니스'의 소품이야기
날로 발전하는 공연문화에 관객들도 공연을 관람하는 안목이 높아졌다. 단지 극의 흐름에만 집중하지 않고 조명, 음악, 무대까지 꼼꼼히 챙기는 모습은 영락없는 전문가다. 이런 관객들의 만족을 채워주는 건 잘 가공된 요소들이 아니다. 픽션이지만 사실 같은, 아니 실제보
생활발레의 메카! 국립발레단 부설 '발레아카데미'
[난장 스테이지] 발레가 시민 곁으로
'춤을 추다'는 이탈리어에서 온 발레의 어원이다. 춤은 그 장르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날로 발전되고 있어 전문 무용수가 아니어도 배우고 즐기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발레도 예외는 아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발레를 배우려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는
사랑의 아리아, 오페라 '베르테르' 제작발표회
[공연tong]슬프도록 아름다운 사랑의 아리아가 찾아온다
오페라 '베르테르'의 제작진은 7월 21일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제작발표회를 가졌다. 의정부예술의전당과 하남문화예술회관, 노원문화예술회관의 공동제작으로 진행되는 이번 작품은 지역 문화예술 활동의 주축이 될 문예회관들의 합작이라 더욱 큰 관심을 끌었다
발레계의 '명품커플' 김용걸과 김지영
[공연tong]긴장하라! 발레계의 '명품커플' 김용걸과 김지영이 돌아온다.
발레를 사랑하는 팬들에게 희소식이 들어왔다. 올 가을 국가대표 발레커플 김용걸과 김지영이 재회한다. 그들은 국립발레단의 수석 무용수 시절 한국발레의 부흥을 선도한 장본인들이다. 보리스 에이프만의 '차이코프스키'로 4년만에 전막 발레로 다시 만나는 김용걸
<09 상반기 뮤지컬 결산 3> 한국은 뮤지컬이 대세
[난장 스테이지] 마니아가 뽑은 최고의 뮤지컬 男배우는?
한국의 뮤지컬은 2001년 이후 꾸준한 관객증가와 시장확대를 경험하며 점차 전도유망한 문화산업의 큰 축으로 성장해가고 있다. 특히 ▲식을 줄 모르는 창작 뮤지컬의 제작 열기 ▲뮤지컬 전용극장 시대의 도래 ▲국내 프로듀서들의 해외 진출 ▲국내 작품의 해외 수출 등은
뉴스테이지 김수연, 심보람
한국 뮤지컬, 뉴욕에 간다
[공연tong] 뮤지컬 '마이 스케어리 걸' 뉴욕뮤지컬페스티벌 공식초청 받아
신촌의 거리를 흥겹게 달군 뮤지컬 '마이 스케어리 걸'이 공연의 메카 뉴욕거리로 나선다. 올해로 6회째에 접어드는 '뉴욕뮤지컬페스티벌(이하 NYMF)'에 한국창작뮤지컬로는 최초로 공식초청작에 올려 진 까닭이다. 뮤지컬 '마이 스케어리 걸'의 높
강렬한 록음악에 묻어나는 저항 정신
[난장 스테이지] 음악으로 미리 만나는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
"모두를 뒤집어 새로운 세상이 오길 바라네" 1990년대의 시대적 상황을 저돌적인 가사로 무너뜨린 서태지의 '시대유감' 중 일부 가사다. 90년대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 코드였던 서태지는 문화 혁신을 주도한 혁명가라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신해철, 김종서 등의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