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07일 23시 29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논술문의 구조와 특징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37)]
글쓰기의 전개 방식은 실용문, 설명문, 논설문과 사물에 대한 묘사, 어떤 사건을 밝히는 경우 등, 그 각각의 목적에 따라 적합한 문장 형식을 취한다. 글쓰기의 목적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논술문은 논술 과제의 성격에 따라 설명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방법적
장건태 에플논구술연구소 책임연구원
논술과 배경지식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32)]
논술을 지도하다보면 꼭 부딪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논술 지문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과 논술문을 어떻게 작성하는지를 모른다는 것이다. 사고력은 그만두더라도 기본적으로 논제에서 요구하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 이것은 분명 지식의 문제이다. 예를 들어
성균관대 - 엄밀하게 분석하고, 종합한 다음 생각을 문장 단위로 치밀하게 표현 하라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30)]
성균관대 논술은 엄밀한 분석력과 '다양한' 개념들을 통합하는 '종합화 능력'을 갖추고 있가에 대한 평가이다. 제시문의 출전도 교과서, 고전, 시사적인 현대문 등 다양하며, 글의 성격도 이념 제시, 의견 개진, 사실 기술 등으로 다양하게 출제되어 왔다.
논술은 '비판적 사고로 지식을 수렴하고, 창의적으로 발산하는 과정이다.'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27)]
수학 시험에서 백점을 맞은 학생 두 명이 있다. 두 명 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다. 그런데 한 학생은 수학 원리를 잘 이해를 하고, 그 원리를 새로운 영역에 적용할 줄 아는 능력을 가져서 백점을 맞았고, 또 다른 학생은 그와 유사한 문제를 많이 풀어서, 연습한 문제가 나
논술은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을 만든다.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22)]
지식정보사회의 도래는 '사회변화'와 이에 따른 '지능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기존의 교육체계에 대한 반성과 어떻게 '사고기능'을 가르칠 것인가 하는 문제들을 던져주었다. 먼저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유용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된 정보들
논술 능력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17)]
유치원생에서 초등학생 그리고 중·고생들에 이르기 까지 논술은 교육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이다. "유전자 변형 식품(GMO)에 대하여 논하시오"라는 문구가 초등학생 논술 교재 광고에 사용될 정도로 논술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지나치다. 물론 초등학생도 유전자 변
서울대-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13)] 서울대 정시 논술 문항 분석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출제된 서울대 정시 논술 문항의 핵심은 사고의 엄밀성을 바탕으로 하는 분석력, 문제의식과 문제제기 능력을 담고 있는 비판적 사고, 그리고 종합화된 사고를 자신만의 언어로 유창하게 표현하는 창의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1. 분석적이고 엄
논술 교육과 지식정보사회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12)]
어느 초등학생이 이런 메모를 남겼다. 사람은 많이 배우면 배울수록 아는 것이 많아진다. 그런데 아는 것이 많으면 잊어버리는 것도 많이 생긴다. 잊어버리는 것이 많아지면 아는 것은 적어진다. 그러니까 아는 것이 적으면 잊어버리는 것도 적다. 잊어버리는 것이 적으면 아
부산대-통합교과적 성격의 자료제시형 논술 유형이 출제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11)]
1. 부산대 정시 논술 문항의 출제 경향 부산대의 정시 논술 고사는 정시 '가'군 일반전형 중에서도 인문·사회계열-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법과대학, 사범-인문, 사회계열-대학, 상과대학, 예술문화영상학과에 지원하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논술 문
논술의 성격과 개념
[논술 전문가 릴레이 기고(7)]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 백성들이 이르고자 하는 생각이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제대로 펴지 못하는 자가 많으니라, ……. 훈민정음 어지의 일부분이다. 사고와 언어와의 관계를 생각하지 않더라도 우리에게는 이렇듯 사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