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02일 10시 33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연재를 마치며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33ㆍ끝>
동네 공터에서 뛰어놀고 있노라니 낯선 노인 한 분이 나를 불러세운다. 한참 동안 내 두 손을 꼭 붙잡고 얼굴을 찬찬히 뜯어보더니 대뜸 이런다.“허… 크게 될 놈일세…”그러나 애석하게도 나는 ‘크게’ 되지 못했다. 그 노인은 해장술에 취한 삼류 관상쟁이었을까. 어쨌
정문술 벤처경영인
2003.10.25 13:33:00
마지막 업무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32>
최근 <미래산업>은 핸들러에 이어 SMD마운터라는 장비를 개발했다. 마운터란 쉽게 말해서 회로기판 위에 전자제품들을 결합시키는 장비다. 휴대폰에서부터 텔레비전에 이르기까지, 전자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라면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장비인 것이다. 초고속, 초정밀의
2003.10.23 08:58:00
초고속(?) 국산화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31>
그러던 중, 공고출신의 한 엔지니어가 때맞춰 사고를 낸다. ‘핸들러’라는 장비를 우리가 입에 올리기 시작한 지 불과 일주일만에, 그 녀석이 핸들러 설계도면을 들고온 것이다. 비록 핸들러 중에서 가장 단순한 트랜지스터 핸들러였지만 우리는 모두 눈이 휘둥그레졌다.“
2003.10.21 08:59:00
목숨 걸고 개발한 바보기계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30>
파산이 눈앞에 닥쳐 있었다. 한 목숨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빚더미가 내 어깨를 짓누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저녁, 집에서 아내와 함께 우울한 소주잔을 기울이고 있자니 믿을 수 없는 소식이 날아들었다. 드디어 장비가 돌아간다는 개발팀장의 전화였다. 나는 듯이 사무
2003.10.20 09:04:00
날치기 당한 월급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29>
매거진의 성공은, 사업가로서 나의 첫 성공이자 <미래산업>의 첫 성공이었다. 하지만 나는 매거진 정도로는 아직 성에 차지 않았다. 좀더 획기적인 것, 좀더 위험한 것에 도전해보고 싶었다. 매거진으로 어느 정도 자신감을 회복한 나는 곧장 또다른 도전 대상을 물색하기 시
2003.10.17 08:52:00
미래산업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28>
공장을 정리하면서 공고출신의 엔지니어 네 사람과 수위아저씨에게 나는 분명히 말했다.“조금만 시간을 주세요. 반드시 다시 시작합니다.”뻔뻔한 부탁이었지만 그들은 눈물을 글썽이며 내 손을 굳게 잡아주었다. 실패는 했을망정 나를 ‘오너’로 인정해주는 그들이 나 역
2003.10.16 08:56:00
하청업체의 눈물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27>
공장이 제 모습을 갖춰나가자 우리는 ‘금형(金型)업체’로의 탈바꿈을 추진했다. 기술력 확보를 위해 고심하던 나는 수소문 끝에 S라는 일본인 퇴역기술자를 초빙했다. 월급 150만원과 월 1회의 일본여행 경비 50만원, 도합 250만원 규모의 보수를 약속했다. 80년대 초반의
2003.10.14 09:00:00
강제해직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26>
<중앙정보부> 동료들은 거의 대부분 서울의 명문대 출신이거나 육군사관학교 출신이었다. 그들은 나와 동기임에도 모두들 ‘4급’이었다. 나는 강한 승부욕에 사로잡혔다. 할당되는 업무는 항상 남보다 먼저 끝냈고, 수시로 실시되는 각종 정보시험에서 나는 항상 1등을 했다
2003.10.13 08:59:00
군대 – 그 소중한 경험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 제2부 -'일과 삶' <25>
오늘부터 정문술씨의 젊은 시절부터 미래산업을 일구어내기까지의 과정을 '일과 삶'이란 제목 아래 8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내 고향은 전북 임실이다. 시절도 어수선했고 공부에도 별 관심이 없었다. 다행히 집안은 비교적 넉넉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기부
정문술기자 벤처경영인
2003.10.10 10:30:00
은퇴사례
정문술의 거꾸로 인생론-'노욕(老慾)' <24>
작년에 미국 모 대학의 글로벌 MBA 코스가 한국에서 개설되었다. 그 오프닝 행사에 내가 강연자로 초청되었다. 미래의 경영자를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나는 세 가지를 당부했다.“정의로운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첫째, 기업체도 보편적인 윤리와 도덕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기
2003.10.09 09:08:00